영화줄거리
역도산은 재일 한국인으로서 일본 프로레슬링의 신화를 세운 실존 인물 역도산(설경구)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입니다. 1963년 12월 8일 자정, 일본 도쿄. 거센 비가 내리는 거리에서 피투성이가 된 역도산이 차 안에서 마지막 숨을 몰아쉬고 있습니다. 불과 10분 전, 그는 클럽에서 정체 모를 남자의 칼에 찔렸습니다. 영화는 그의 죽음 직전 순간에서 시작해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그의 삶을 따라갑니다.
1950년 9월, 스모 랭킹 3위였던 역도산은 “순수 일본인이 아니면 스모 최고가 될 수 없다”는 말을 듣고 협회를 상대로 난동을 부립니다. 결국 그는 스모를 포기하고 상투를 자르며 자신의 모든 것을 버립니다. 술과 싸움으로 시간을 보내던 그는 우연히 만난 미국 프로레슬러에게 기습 제압당하며 새로운 세계에 눈을 뜨고, 레슬링이라는 종목에 매료됩니다.
역도산은 미련 없이 태평양을 건너 미국으로 떠나고, 2년 후 당당한 프로레슬러가 되어 금의환향합니다. 이후 일본에서 프로레슬링 사업을 시작하지만 초반에는 흥행사들과 대중 모두 반신반의합니다. 그러나 역사적인 첫 경기에서 역도산이 미국 선수를 링 위에서 쓰러뜨리자, 2차 세계대전 패배 후 좌절해 있던 일본 대중은 열광하며 환호합니다.
이로써 역도산은 일본 국민적 영웅으로 떠오르고, 프로레슬링은 일본 대중문화의 중심에 서게 됩니다. 그러나 모든 것을 손에 넣었다고 생각한 순간부터 역도산의 삶은 조금씩 어긋나기 시작합니다. 그의 거침없는 성격과 술, 폭력, 주변 사람들과의 갈등은 점점 파국으로 향하고, 결국 그는 한 클럽에서 칼에 찔리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습니다.
등장인물
역도산 (설경구)
스모 선수에서 일본 프로레슬링의 전설로 거듭난 인물. 강렬한 카리스마와 동시에 외로운 재일 한국인의 정체성 갈등을 겪는 복합적 캐릭터입니다.
사사키 (마키 요코)
역도산의 연인이자 그를 지켜보는 중요한 존재. 그의 성공과 몰락을 가장 가까이에서 목격하며 감정적 무게를 더합니다.
기타 조연들
스모협회 인사, 흥행사, 레슬러 동료들 등. 역도산의 성장과 몰락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인물들로, 당시 일본 사회의 시선을 대변합니다.
관객반응 및 흥행 성과
역도산은 개봉 당시 약 17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주목을 받았습니다. 관객들은 격렬한 링 위의 액션과 설경구의 몰입감 있는 연기에 열광했으며, 역도산이라는 인물을 통해 재일 한국인의 삶과 일본 사회를 돌아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았습니다.
평단 반응
평론가들은 이 영화가 단순한 전기 영화가 아닌, 인물의 내적 갈등과 일본 사회의 차별 구조를 동시에 보여준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다만 후반부의 전개가 다소 빠르고 비극적 결말이 갑작스럽다는 아쉬움도 제기되었습니다.
총평
역도산은 전설적인 프로레슬러의 생애를 다루면서도 한 인간이 겪는 외로움과 정체성의 고뇌를 섬세하게 담아낸 작품입니다. 링 위에서는 영웅이지만, 현실에서는 이방인으로 고독한 삶을 살다 간 비극적 인물을 통해 관객에게 묵직한 여운을 남깁니다. 스포츠 영화 이상의 드라마로서 역사적 맥락과 인간적인 이야기 모두를 아우르는 수작입니다.